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이론은 입자 1개 또는 몇 개의 입자에 관한 위치, 운동량, 에너지의 변화에 대하여 기술하지만, 현실의 실험에서는 각 입자의 위치, 운동량, 에너지 대신, 전체 시스템의 압력, 부피, 질량, 온도 등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압력, 부피, 질량, 온도 등을 이용하여 각 입자의 위치, 운동량, 에너지 등을 유추하고 이를 기존 이론으로 재기술해야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작업의 기초가 통계역학이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현실에서 측정하는 값들과 물리 이론의 변수들을 정리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개념으로 등장한 볼츠만 상수를 살펴본다.
#Macrostate #Microstate #Equal a Priori Probabilities
부피
반대로 입자
를 만족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wavefunction
그러나 위의
각 macrostate는
#Thermal Contact of Two Systems #Boltzmann Constant
이제 시스템
먼저, 입자가 경계를 뚫고 가거나 경계의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여기에서
그러므로
이제 가능한 여러
이므로 thermal equilibrium 상태에서
따라서 thermal equilibrium에서는
열역학 제 0법칙에 의하면, thermal equilibrium에서 온도가 같아지므로
이므로
을 얻는다. Boltzmann은 이 값이 모든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수 값을 가진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THEOREM Entropy
이 식은 몇 가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먼저 ① Thermodynamic quantity인
따라서, Thermodynamic quantity와 microstate를 연결하는 상수
Complete Thermodynamic Quantities
이제
여기에 입자가 이동할 수 있다고 한다면,
가 성립한다. 위 값을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이제
따라서,
- 약 \(6.022 \times 10^{23}\). [본문으로]
- 에너지 레벨에 대한 증명은 [양자역학] 2.1 상자 속 입자 A Particle in a Box ⑤ 참고. [본문으로]
- 자세한 내용은 [양자역학] 2.1 상자 속 입자 A Particle in a Box ⑤ 참고. [본문으로]
- 열역학 제 1법칙 [본문으로]
- \( \frac{1}{f}\frac{df}{dx} = \frac{d\ln{f}}{dx} \) 를 이용하여 정리. [본문으로]
'Physics > 통계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역학] 1.4-(1) Example: 정준 앙상블에서 열역학적 물리량 Thermodynamic Quantities in Canonical Ensemble (0) | 2020.08.06 |
---|---|
[통계역학] 1.4 정준 앙상블 Canonical Ensemble (3) | 2020.08.04 |
[통계역학] 1.3 소정준 앙상블 Microcanonical Ensemble (2) | 2020.08.01 |
[통계역학] 1.2 앙상블, 리우빌 정리 Ensemble, Liouville's Theorem (7) | 2020.07.29 |
[통계역학] 1.1-(1) Example: 이상 기체, 기브스 역설 Ideal Gas, Gibbs Paradox (5) | 2020.07.28 |
[통계역학] PRE. 열역학 Thermodynamic Introduction (1)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