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페이지에서는 이상 기체에서 microstate 개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열역학의 몇몇 결과들을 도출해보자.
#Microstate Multiplicity of Ideal Gas
한 변의 길이가
이므로
따라서 총 에너지
이 값을 편의상
구를 원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으로 정의하면,
반지름
반지름
반지름
이를 일반화하면 N-차원 구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N-차원 구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4 5
위 식으로부터,
따라서
이제 반지름이 매우 크므로, 에너지가
따라서
이 때,
Stirling formula
#Thermodynamic Quantities of Ideal Gas
위에서 구한 microstate 개수를 이용하면 엔트로피를 구할 수 있다.
이제
첫번째 식을 정리하면, 이상 기체의 에너지와 온도의 관계를 얻는다.
그리고 두번째 식을 정리하면, 이상 기체 방정식을 얻는다.
또한
따라서
#Gibbs Paradox
다음 그림과 같은 상태에 있는 이상 기체
각 기체의 엔트로피는 위에 내용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이제 두 기체 사이의 벽을 제거하면 기체가 섞이는데 이 때 엔트로피의 변화를 entropy of mixing이라고 한다. 이 때, 부피가
만약, 초기 상태에 입자의 밀도가 같았다면,
가 된다. 이 값은 0보다 크므로 기체가 확산하는 과정은 불가역적이다.
그러나 만약
왜 이러한 결과가 생기는 것인가?
첫 항은 확산 후 전체
이 식을 Sackur-Tetrode equation이라고 한다.
#Classical Limit
Microstate 개수를 셀 때, 왜
를 나누어야 한다. 그러나 Gibbs paradox를 해결하기 위해서
- 상자 속 입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양자역학] 2.1 상자 속 입자 A Particle in a Box ⑤ 참고. [본문으로]
- 예를들어, 3차원 구이면 2-sphere이다. 3-sphere는 3차원에 있는 구가 아니라 4차원에 있는 구이다. 혼동하지 않도록 하자. [본문으로]
- 격자점의 좌표값이 모두 양수이어야 하므로, 정확히는 (구의 부피) \(\times \frac{1}{2^{3N}}\) 에 수렴. [본문으로]
- N-차원 구의 부피는 [ ① 부피 \(V\) 와 표면 넓이 \(S\) 가 \(\frac{dV}{dR} = S\) 의 관계에 있다는 것 ② \(V\) 는 \(R^N\) 에 비례한다는 것 ③ N-차원 공간 전체에 대한 적분 = 넓이 \(S\)를 반지름에 대하여 0부터 무한대까지 적분 ④ Gauss 적분 ]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본문으로]
- \(\Gamma(x)\) 는 gamma function. 대표적인 성질은 \(\Gamma(x+1) = x\Gamma(x)\) , \(\Gamma(1/2) = \sqrt{\pi}\) , \(\Gamma(n) = (n-1)! \) 이다. 자세한 내용은 --gamma-- 참고. [본문으로]
- 단순히 분리벽을 다시 넣는 것으로 초기상태로 돌아온다. [본문으로]
- \(A_1\) 과 \(A_2\) 가 같은 기체이면 entropy of mixing이 0이 되고, 다른 기체이면 \(m_i\) 가 다르기 때문에 0이 되지 않는다. [본문으로]
'Physics > 통계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역학] 1.4-(1) Example: 정준 앙상블에서 열역학적 물리량 Thermodynamic Quantities in Canonical Ensemble (0) | 2020.08.06 |
---|---|
[통계역학] 1.4 정준 앙상블 Canonical Ensemble (3) | 2020.08.04 |
[통계역학] 1.3 소정준 앙상블 Microcanonical Ensemble (2) | 2020.08.01 |
[통계역학] 1.2 앙상블, 리우빌 정리 Ensemble, Liouville's Theorem (7) | 2020.07.29 |
[통계역학] 1.1 거시상태, 미시상태, 볼츠만 상수 Macrostate, Microstate, Boltzmann Constant (4) | 2020.07.28 |
[통계역학] PRE. 열역학 Thermodynamic Introduction (1)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