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er product space
Finite-dimensional inner product space
즉,
인 경우
이므로
이어야 한다.
Inner product space가 infinite dimension일 때는 이전 페이지에서 언급했듯이 adjoint의 존재가 문제가 되기 때문에 self-adjoint의 정의가 조금 더 복잡해진다. 다만, 결론적으로는 space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의 문제이므로 물리학과 학부 양자역학에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고 위의 정의를 거의 그대로 사용한다.
Eigenvalues of Self-adjoint Operators
양자역학에 등장하는 에너지, 각운동량 등은 self-adjoint operator가 된다. 이는 양자역학이
"물리적인 값의 측정(observable)은 inner product space의 self-adjoint operator로 표현되며 측정의 결과로 나오는 값은 이 operator에 대한 eigenvalue만 가능하다."
는 것을 공리(axiom)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리가 타당한 이유는 self-adjoint operator의 eigenvalue는 항상 real number이다. Self-adjoint operator
이므로 inner product의 정의
즉,
따라서 양자역학의 공리에 의하면, 측정의 결과는 언제나 실수값으로 나온다.
'Mathematics > 선형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학) 4.6-(2) Some Spaces Isomorphic to 3-dimensional Euclidean Space (0) | 2018.08.02 |
---|---|
(선형대수학) 4.6-(1) Orthogonal Operators (0) | 2018.08.02 |
(선형대수학) 4.6 Isometry, Unitary Operator (0) | 2018.08.02 |
(선형대수학) 4.4 Hermitian Adjoint of Operators (0) | 2018.08.02 |
(선형대수학) 4.3 Orthogonality, Gram-Schmidt Process (0) | 2018.08.01 |
(선형대수학) 4.2 Norm (0) | 201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