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ysics/통계역학

[통계역학] 2.2 보즈-아인슈타인 응축 Bose-Einstein Condensation

by 피그티 2020. 8. 18.

보존 이상 기체의 경우 입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없는데도 일정한 온도 아래로 내려가면 많은 수의 입자가 가장 낮은 에너지 레벨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이라고 부른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에 대한 이론을 살펴본다.


#Bose Ideal Gas

입자가 boson인 경우 \(a=-1\) 을 대입하면,

\[ \begin{equation*} \frac{PV}{kT} = - \sum_i \ln{(1-ze^{-\beta\varepsilon_i})} \end{equation*} \]

만약 같은 에너지 레벨 \(\varepsilon\) 에 대하여, density of states를 \(d(\varepsilon)\) 이라고 하면,

\[ \begin{equation*} \frac{PV}{kT} = - \sum_\varepsilon d(\varepsilon) \ln{(1-ze^{-\beta\varepsilon})} \end{equation*} \]

가 된다. 주어진 \(\varepsilon\) 에 대하여 density of states는

\[ d(\varepsilon) \approx \frac{1}{h^3} \left( \frac{d}{d\varepsilon} \int_{H<\epsilon} d\Omega \right) = \frac{V}{h^3} 2\pi (2m)^{\frac{3}{2}} \varepsilon^{\frac{1}{2}} \]

그리고, 큰 \(V\) 에 대하여 에너지 레벨은 거의 연속이므로 \(\sum_\varepsilon\) 는 \(\int ~d\varepsilon\) 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만, \(\varepsilon=0\) 인 경우는 \(d(\varepsilon)\) 이 0으로 계산되므로 이 부분만 따로 계산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 \begin{equation*} \frac{PV}{kT} = - \frac{V}{h^3} 2\pi (2m)^{\frac{3}{2}} \int _0 ^\infty \varepsilon^{\frac{1}{2}} \ln{(1-ze^{-\beta\varepsilon})} ~d\varepsilon - \ln{(1-z)} \label{pvkt1} \end{equation*} \]

적분부분을 부분적분을 이용하면,

\[ \begin{align*} \int _0 ^\infty \varepsilon^{\frac{1}{2}} \ln{(1-ze^{-\beta\varepsilon})} ~d\varepsilon &= \left. \frac{2}{3} \varepsilon^{\frac{3}{2}} \ln{(1-ze^{-\beta\varepsilon})} \right| _0 ^\infty - \int _0 ^\infty \frac{2}{3}\varepsilon^{\frac{3}{2}} \frac{\beta z e^{-\beta \varepsilon}}{1-z e^{-\beta\varepsilon}} ~d\varepsilon \\ &= - \frac{2}{3} \beta \int_0 ^\infty \frac{\varepsilon^{\frac{3}{2}}}{z^{-1}e^{-\beta\varepsilon} - 1} ~d\varepsilon \\ &= - \frac{2}{3} \frac{1}{\beta^{\frac{3}{2}}}  \int_0 ^\infty \frac{x^{\frac{3}{2}}}{z^{-1}e^{-x} - 1} ~dx \end{align*} \]

이므로

\[ \begin{equation} \frac{P}{kT} = \left( \frac{2\pi m}{h^2 \beta} \right)^{\frac{3}{2}} \frac{1}{\Gamma \left(\frac{5}{2}\right)}  \int_0 ^\infty \frac{x^{\frac{3}{2}}}{z^{-1}e^{-x} - 1} ~dx - \frac{1}{V} \ln{(1-z)} \label{pvkt2} \end{equation} \]


같은 방식으로

\[ \begin{equation*} N = \sum_i \frac{1}{z^{-1}e^{\beta\varepsilon} - 1} \end{equation*} \]

로부터

\[ \begin{equation} \frac{N}{V} = \left( \frac{2\pi m}{h^2 \beta} \right)^{\frac{3}{2}} \frac{1}{\Gamma \left(\frac{3}{2}\right)}  \int_0 ^\infty \frac{x^{\frac{1}{2}}}{z^{-1}e^{-x} - 1} ~dx + \frac{1}{V}\frac{z}{1-z} \label{n1} \end{equation} \]

을 얻을 수 있다.


#Bose-Einstein Function

식 \(\eqref{pvkt2}\), 식 \(\eqref{n1}\)를 간단히 표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값을 정의하자.[각주:1]

\[ \begin{equation} \lambda = \left( \frac{h^2 \beta}{2\pi m } \right)^{\frac{1}{2}} = \left( \frac{h^2}{2\pi mkT} \right)^{\frac{1}{2}} \label{mtw} \end{equation} \]

또한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각주:2]

\[ \begin{equation} g_\nu (z) = \frac{1}{\Gamma(\nu)} \int _0 ^\infty \frac{x^{\nu -1}}{z^{-1}e^{x}-1}~dx \label{bef} \end{equation} \]

이들을 이용하여 식 \(\eqref{pvkt2}\)과 식 \(\eqref{n1}\)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THEOREM            Ideal Bose Gas

\[ \begin{align} \frac{P}{kT} &= \frac{1}{\lambda^3} g_{5/2}(z) - \frac{1}{V}\ln{(1-z)} \label{pvkt3} \\ \notag \\ \frac{N}{V} &= \frac{1}{\lambda^3} g_{3/2}(z) + \frac{1}{V}\frac{z}{1-z} \label{n2} \end{align} \]


식 \(\eqref{bef}\)에서 정의한 Bose-Einstein function의 중요한 특징을 살펴보자. 적분 안쪽의 분모 부분

\[ \frac{1}{z^{-1}e^x -1} = \frac{ze^{-x}}{1-ze^{-x}} \]

를 \(z\) 에 대해, \(j\) 번 미분하면

\[ \frac{\partial^j}{\partial z^j} \frac{1}{z^{-1}e^x -1} = j! \frac{e^{-jx}}{(1-ze^{-x})^j} + j! \frac{ze^{-(j+1)x}}{(1-ze^{-x})^{j+1}} \]

이므로, \(z=0\) 에서 Taylor 전개하면, 다음의 무한급수를 얻는다.[각주:3]

\[ \frac{1}{z^{-1}e^x -1} = \sum _{j=1} ^\infty e^{-jx}z^j \]

이를 식 \(\eqref{bef}\)에 대입하면,

\[ \begin{align} g_\nu (z) &= \frac{1}{\Gamma(\nu)} \int _0 ^\infty x^{\nu -1}\sum _{j=1} ^\infty e^{-jx}z^j~dx \notag \\ \notag \\ &= \frac{1}{\Gamma(\nu)} \sum _{j=1} ^\infty z^j ~\int _0 ^\infty x^{\nu-1} e^{-jx} ~dx \notag \\ \notag \\ &= \sum _{j=1} ^\infty \frac{z^j}{j^\nu} ~~=~~ z + \frac{z^2}{2^\nu} + \frac{z^3}{3^\nu} + \cdots \label{befsum} \end{align} \]

Boson에서 chemical potential \(\mu\) 는 에너지 최소값 0보다 작아야 하므로[각주:4] \(z=e^{\mu/kT}\) 의 범위는 0~1이 된다. 이 식에 따르면 \(g_\nu(z)\) 는 증가함수이므로 \(z=1\) 에서 최대값을 가진다. 즉,[각주:5]

\[ \begin{equation} g_\nu(z) \le g_\nu(1) = 1 + \frac{1}{2^\nu} + \frac{1}{3^\nu} + \cdots \label{befmax} = \zeta(\nu) \end{equation} \]

또한, 식 \(\eqref{befsum}\)을 \(z\) 로 미분하면,

\[ \begin{equation} \frac{\partial}{\partial z} g_\nu(z) = 1+ \frac{z}{2^{\nu-1}} + \frac{z^2}{3^{\nu-1}} + \cdots = z g_{\nu-1}(z) \label{befdiff} \end{equation} \]

을 얻는다.


#Bose-Einstein Condensation

식 \(\eqref{n2}\)에서 \(\varepsilon=0\) 부분인 \(\frac{1}{V}\frac{z}{1-z}\) 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excited 상태에 있는 입자의 개수가 된다. 즉,

\[ N_e = \frac{V}{\lambda^3} g_{3/2}(z) \]

식 \(\eqref{befmax}\)에 의해, excited 상태에 있는 최대 입자 개수는

\[ \begin{equation} N_e \le \frac{V}{\lambda^3} \zeta(\frac{3}{2}) \approx 2.612 \frac{V}{\lambda^3} = 2.612\frac{V}{h^3}(2\pi mkT)^{\frac{3}{2}} \label{nemax} \end{equation} \]

가 된다. 총 입자의 개수가 \(N_e\) 의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만약 총 입자의 개수가 더 크면, 초과되는 입자들은 모두 ground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고전적 기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으로 완전히 양자역학적으로만 이해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을 Bose-Einstein condensation(보즈-아인슈타인 응축)이라고 한다. 이 때, ground 상태에 있는 입자의 개수는

\[ \begin{equation} N_0 = N - N_e = N - 2.612\frac{V}{h^3}(2\pi mkT)^{\frac{3}{2}} \end{equation} \]

가 된다.


Bose-Einstein condensation이 일어나는 조건은 총 입자의 수 \(N\) 이 excited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최대 입자수 \(N_e\) 보다 더 많을 때 일어난다. 식 \(\eqref{nemax}\)에 의하면, 온도 \(T\) 가 낮아질수록 \(N_e\) 의 최대값도 낮아진다. 따라서 입자의 수 \(N\) 이 정해져 있는 경우 \(N_e = N\) 이 되는 온도

\[ \begin{equation} T_c = \frac{h^2}{2\pi mk} \left( \frac{N}{V} \frac{1}{\zeta(\frac{3}{2})} \right)^{\frac{2}{e}} \label{ciriticalt} \end{equation} \]

보다 낮은 온도에서 condensation이 일어난다. 이 온도를 critical temperature라고 한다.


\(T_c\) 보다 낮은 온도 \(T\) 에서 ground 상태로 condensation이 되는 입자의 비율은

\[ \frac{N_0}{N} = 1- \left( \frac{T}{T_c} \right)^{\frac{3}{2}} \]

\(T_c\)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condensation이 되는 입자의 비율은 0이 되고, 대부분의 입자가 excited 상태에 있게 된다.[각주:6] 다음 그림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ground 상태에 있는 입자의 비율과, excited 상태에 있는 입자의 비율에 대한 그래프이다.




  1. 이 값을 mean thermal wavelength라고 부른다. [본문으로]
  2. 이 함수를 Bose-Einstein function이라고 부른다. [본문으로]
  3. 다음 식의 우변을 정리하면 무한등비 수열로 해석할 수 있다. 무한 등비 수열의 합과 원래 식을 비교해볼 것. [본문으로]
  4. 2.1 보존 기체, 페르미온 기체 Boson Gas, Fermion Gas mean occupation number 참고. [본문으로]
  5. 다음 식 등호의 마지막은 zeta function이다. [본문으로]
  6. "대부분"이라고 한 것은 우리가 구하고 있는 값들은 모두 평균적인 값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물론 평균에서 벗어나는 비율은 거의 0에 가깝지만 완전히 0은 아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