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학에서 사용되는 vector calculus의 중요한 theorem인 divergence theorem
는 divergence가 3차원 Euclidean space에서 2-form의 exterior derivative라는 점과 submanifold
로 표현할 수 있다. 또다른 정리 Stoke's theorem
은 curl이 1-form의 exterior derivative라는 점을 이용해
로 표현할 수 있다. (2.4-(1) Example: Gradient, Divergence, Curl, --calculus, divergence theorem--, --calculus, stokes' theorem-- 참고)
이러한 사실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 된다.
THEOREM Stokes' Theorem (Manifold)
Boundary가 있는
(증명)
이므로, 적분식은
이므로 결국
을 증명하면 된다. 따라서
(
이제
① 일단
이고
이므로(--Lebesgue,Fubini theorem--, --calculus,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참고)
가 성립한다.
②
그리고 boudary에 대한 parameterization
을 정의하면, inclusion map의 local coordinate 표현은
이므로,
따라서,
이므로 (--calculus,Jacobian-- 참고)
가 성립한다.
(증명 끝)
'Mathematics > 다양체(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체,텐서] 3.1-(2) Gradient of Function (1) | 2018.09.13 |
---|---|
(다양체,텐서) 3.1-(1) Length of Curve (0) | 2018.09.13 |
[다양체,텐서] 3.1 Riemannian Metric (0) | 2018.09.11 |
[다양체,텐서] 2.6 Volume Forms (0) | 2018.09.09 |
[다양체,텐서] 2.5 Integrations on Manifolds (0) | 2018.09.08 |
[다양체,텐서] 2.4-(3) Lie Derivatives of Tensor Fields (0) | 2018.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