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fine connection은 Riemannian metric과는 독립적으로 정의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parallel transport와 geodesic도 Riemannian metric과는 독립적인 개념이다. 그러므로 3차원 Euclidean space라고 하더라도 affine connection을 정의하는 것에 따라 유클리드 기하학과는 다른 기하학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수 \(\omega\)와 Levi-Civita symbol
$$ \epsilon _{ijk} = \left\{ \begin{array}{cl} 1 & \mathrm{for~even~permutation~of~}(1,2,3) \\ -1 & \mathrm{for~odd~permutation~of~}(1,2,3) \\ 0 & \mathrm{otherwise} \end{array} \right. $$
을 이용하여 Cartesian coordinate \((x^1,x^2,x^3)\) 에 대한 affine connection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Gamma ^i _{jk} = \omega \cdot \epsilon _{ijk} $$
이 affine connection에 대한 geodesic equation은 \(\Gamma ^i _{ik} = \Gamma ^i _{jj} =0\) 과 \(\Gamma ^i _{jk} = -\Gamma ^i _{kj}\) 를 이용하면,
$$ \ddot{x}^i = 0 $$
따라서 geodesic은
$$ x^i = a^i t + b^i $$
즉, 직선이 된다. 논의를 쉽게 하기 위하여 직선을 z축을 택하자. 이제 원점에 정의된 tangent vector \(V\)를 직선을 따라서 parallel transport을 해보면,
$$ \dot{V}^i + \sum _{j=1} ^3 \omega \epsilon _{i3k} V^k =0 $$
vector로 표현하면,
$$ \dot{V} = -\omega \hat{z} \times V $$
따라서 \(V\)는 z축을 따라서 parallel transport할 때, z축 중심을 각속도 \(-\omega\) 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하나의 직선이 다른 직선을 따라 평행이동을 할 때는, 두 직선으로 만들어 지는 평면 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정의한 affine connection으로 얻어지는 기하학은 평행이동을 할 때, 두 직선으로 만들어 지는 평면을 벗어나면서 이동한다. 즉, affine connection에 따라서 기하학적 개념들이 달라질 수 있다.
Fundamental Theorem of Riemannian Geometry
Riemannian manifold는 Euclidean space의 submanifold이므로 affine connection으로 유도된 기하학이 submanifold로서의 기하학과 동일하게 되는 affine connection을 Levi-Civita connection이라고 부른다.
DEFINITION Levi-Civita Connection
Riemannian manifold \((M,g)\) 에 정의되는 affine connection \(\nabla\)가
1. 임의의 vector field \(X\)에 대하여, \(\nabla_X g=0\)
2. \(\nabla\)가 torsion-free, 즉, 임의의 vector field \(X\), \(Y\)에 대하여 \(\nabla _X Y - \nabla _Y X = [X,Y]\)
을 만족하는 경우 \(\nabla\)를 Riemannian manifold \((M,g)\)의 Levi-Civita connection이라고 부른다.
첫번째 조건
$$ \nabla _X g = 0 $$
은
$$ (\nabla _X g) (Y,Z) = X(g(Y,Z)) - g(\nabla _X Y,Z) - g(Y,\nabla _X Z) = 0 $$
또는 \(\left\langle \cdot, \cdot \right\rangle\) 을 이용해
$$ X(\left\langle Y,Z \right\rangle) = \left\langle \nabla _X Y,Z \right\rangle + \left\langle Y, \nabla _X Z \right\rangle $$
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를 affine connection이 metric과 compatible하다고 부른다.
정의와는 별개로 임의의 Riemannian manifold에 대하여, Levi-Civita connection이 존재하는가는 다른 문제이다. 다음의 정리로부터 Levi-Civita connection의 존재와 유일성을 증명할 수 있다.
THEOREM Koszul Formula
Riemannian manifold \((M,g)\) 에 정의되는 affine connection \(\nabla\)가 metric과 compatible하고, torsion-free이면,
$$ 2 \left\langle \nabla _X Y,Z \right\rangle = X(\left\langle Y,Z \right\rangle) + Y(\left\langle X,Z \right\rangle) - Z(\left\langle X,Y \right\rangle) - \left\langle [X,Z],Y \right\rangle - \left\langle [Y,Z],X \right\rangle + \left\langle [X,Y],Z \right\rangle $$
가 성립한다.
Riemannian manifold \((M,g)\) 에 대하여, Levi-Civita connection \(\nabla\)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Local Expression of Levi-Civita connection
Koszul formula를 이용하면, local coordinate \(x=(x^1,x^2,\cdots,x^n)\)에서 Levi-Civita connection의 Christoffel symbol은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보일 수 있다.
$$ \Gamma ^l _{ij} = \frac{1}{2} \sum_{k=1} ^n \left( \frac{\partial g_{jk}}{\partial x^i} - \frac{\partial g_{ij}}{\partial x^k} + \frac{\partial g_{ik}}{\partial x^j} \right) g^{kl} $$
( \(g_{ij}\) 는 Riemannian metric, \(g^{ij}\) 는 \(g_{ij}\) 의 inverse )
'Mathematics > 다양체(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체,텐서] 3.5-(1) Lie Groups, Lie Algebras ① (0) | 2018.10.07 |
---|---|
[다양체,텐서] 3.5 Exponential Maps, Normal Coordinates (0) | 2018.10.06 |
[다양체,텐서] 3.4-(1) Example: Geometry on Unit Sphere (0) | 2018.10.05 |
[다양체,텐서] 3.3 Parallel Transport, Geodesics (0) | 2018.09.26 |
[다양체,텐서] 3.2-(2) Coordinates Changes of Christoffel Symbols (0) | 2018.09.26 |
[다양체,텐서] 3.2-(1) Torsion Tensors (0) | 2018.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