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원 조화진동자 potential에 있는 전자를 생각해보자. 1
\[ H_0 = \frac{P^2}{2m} + \frac{1}{2}m\omega^2 X^2 \]
이 시스템에 약한 전기장 \(\mathcal{E}\) 를 작용하면, 추가로 다음과 같은 potential이 작용하게 된다.
\[ H_1 = e\mathcal{E}X \]
따라서 이 시스템의 전체 Hamiltonian은
\[ H = H_0 + H_1 = \frac{P^2}{2m} + \frac{1}{2}m\omega^2 X^2 + e\mathcal{E}X \]
가 된다. 이 Hamiltonian의 정확한 eigenvalue를 구할 수 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H\) 정확한 eigenvalue를 구하고, 또 perturbation theory를 적용해본 후 결과를 비교해 본다.
#Exact Solution
정확한 해를 구하기 위해서 potential항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자.
\[ \frac{1}{2}m\omega^2 X^2 + e\mathcal{E}X = \frac{1}{2}m\omega^2 \left( X+\frac{e\mathcal{E}}{m\omega^2} \right)^2 - \frac{e^2 \mathcal{E}^2}{2m\omega^2} \]
따라서 새로운 좌표 \(X' = X+\frac{e\mathcal{E}}{m\omega^2}\) 를 정의하면, canonical momentum \(P' = P\) 이므로, Hamiltonian은
\[ H = \frac{P' ^2}{2m} + \frac{1}{2}m\omega^2 X' ^2 - \frac{e^2 \mathcal{E}^2}{2m\omega^2} \]
이 된다. 이 때, 마지막 항은 단순한 상수이므로, 사실상 조화진동자 Hamiltonian이다. 따라서 이 Hamiltonian의 정확한 에너지는
\[ \begin{equation} E_n = \left(n+\frac{1}{2}\right) \hbar \omega - \frac{e^2 \mathcal{E}^2}{2m\omega^2} \end{equation} \label{exact} \]
#Perturbation Theory
이제 perturbed Hamiltonian \(H_1 = e\mathcal{E}X\) 에 대하여 1차항 에너지 변화
\[ E_n ^{(1)} = \langle n | H_1 | n \rangle = e\mathcal{E} ~\langle n | X | n \rangle \]
Creation operator와 annihilation operator를 이용하면, 2
\[ X = \sqrt{\frac{\hbar}{2m\omega}} (a + a^\dagger) \]
로 나타나므로
\[ \langle n | X | n \rangle = \langle n | a | n \rangle + \langle n | a^\dagger | n \rangle \]
가 된다. 이 때,
\[ a~|n\rangle = \sqrt{n} ~|n-1 \rangle \]
\[ a^\dagger ~|n\rangle = \sqrt{n+1} ~|n+1 \rangle \]
이므로,
\[ \langle n | H_1 | n \rangle = e^2 \mathcal{E}^2 \sqrt{\frac{\hbar}{2m\omega}} \left( \sqrt{n} ~\delta_{n,n-1} + \sqrt{n+1} ~\delta_{n,n+1} \right) = 0 \]
즉, 1차항 에너지 변화는 0이다.
2차항 에너지 변화를 구해보자.
\[ E_n ^{(2)} = \sum_{k\ne n} \frac{|\langle k | H_1 | n \rangle|^2}{E_n ^{(0)} - E_k ^{(0)}} \]
이 때,
\[ \langle k | H_1 | n \rangle = e^2 \mathcal{E}^2 \sqrt{\frac{\hbar}{2m\omega}} \left( \sqrt{n} ~\delta_{k,n-1} + \sqrt{n+1} ~\delta_{k,n+1} \right) \]
이므로,
\[ E_n ^{(2)} = \frac{e^2\mathcal{E}^2 \frac{\hbar}{2m\omega}n}{\hbar \omega} - \frac{e^2\mathcal{E}^2 \frac{\hbar}{2m\omega}(n+1)}{\hbar \omega} = - \frac{e^2 \mathcal{E}^2}{2m\omega^2} \]
이 결과를 식 \(\eqref{exact}\)와 비교해보면, 2차항 에너지 변화가 조화진동자에서 변화한 정도와 정확히 같다.
- 조화진동자는 3.1 조화진동자 Harmonic Oscillator 참고. [본문으로]
- creation operator와 annihilation operator는 3.5 생성자, 소멸자 Creation and Annihilation Operators 참고. [본문으로]
'Physics > 양자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역학] 3.5-(2) Example: 조화진동자에서 불확정성 원리 Uncertainty Principle of Harmonic Oscillator (0) | 2020.12.24 |
---|---|
[양자역학] 3.5-(1) Example: 조화진동자에서 물리량 Values of Observables for a Harmonic Oscillator (0) | 2020.12.24 |
[양자역학] 6.3 시간에 무관한 섭동론 ② Time-Independent Perturbation Theory (0) | 2020.10.29 |
[양자역학] 6.2 시간에 무관한 섭동론 ① Time-Independent Perturbation Theory (1) | 2020.09.22 |
[양자역학] 6.1 변분법 The Variational Method (0) | 2020.09.20 |
[양자역학] 5.5 각운동량 덧셈 Addition of Angular Momentums (0) | 2020.09.18 |